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
[ADsP] 1과목 데이터 이해 - 기출문제 해설ADsP 2021. 2. 27. 20:59
기출문제 해설* 정량적 데이터는 형태 수치, 도형, 기호 등올 기술이 되며, 정성적 데이터의 형태는 언어, 문자 등으로 기술된다. * 암묵지와 상호작용은 공통화, 내면화이고 형식지와 상호작용은 표출화, 연결화이다. *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법에 대한 설명1. 총계처리 - 데이터의 총합 값을 보임으로써 개별 데이터의 값을 보이지 않도록 함2. 데이터 마스킹 - 데이터의 길이, 유형, 형식과 같은 속성을 유지한 채, 새롭고 읽기 쉬운 데이터를 익명으로 생성하는 기술3. 가명처리 - 개인 식별에 중요한 데이터를 식별 할 수 없는 다른 값으로 변경4. 범주화 - 데이터의 값을 범주의 값으로 변환하여 값을 감춤 * 데이터에 대한 설명1.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잘못된 분석 결과를 얻음2. 창의적인 데이터 ..
-
[ADsP] 1과목 데이터 이해 - 요약 정리ADsP 2021. 2. 27. 20:47
1. 데이터의 이해1_1.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의 정의1) 데이터(Data)라는 용어는 1646년 영국 문헌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라틴어인 dare(주다)의 과거 분사형으로 ‘주어진 것’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2) 1940년대 이후 컴퓨터 시대 시작과 함께 자연 과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통계학 등 다양한 사회 과학이 진일보하며, 데이터의 의미는 과거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에서 기술적이고 사실적인 의미로 변화되었다.3) 데이터는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이다. ㅂ(옥스퍼드 대사전)4) 데이터는 단순한 객체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 데이터의 유형1)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 저장, 검색, 분석에 많은 비용이 ..